인사이트

인사이트

스타트업 용어 정리 - 스타트업 종사자 필수 상식

장영운

Feb 22, 2025

undefined

스타트업을 운영하거나 관심을 가지다 보면 다양한 전문 용어를 접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들 용어 중에는 자주 사용되지만 뜻이 헷갈리거나 혼동될 수 있는 것들이 많습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자주 등장하는 핵심 용어들을 쉽게 풀어 설명합니다

창업을 준비하거나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개념들이 포함되어 있으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스타트업의 기본 개념

네트워크 효과 (Network Effect)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서비스의 가치가 증가하는 현상으로, 대표적으로 SNS나 마켓플레이스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스타트업 (Startup)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신생 기업을 의미합니다. 보통 초기 자금(Seed Money)이 부족하며, 시장에서 제품-시장 적합성(PMF)을 찾는 과정에 있습니다.

벤처기업 (Venture Business)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인증한 기술 기반 중소기업을 의미합니다. 세금 감면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안정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갖춘 기업입니다.

린 스타트업 (Lean Startup)

시제품(MVP)을 출시하여 고객 피드백을 바탕으로 빠르게 개선하는 방식입니다. 최소한의 자원으로 제품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실험을 통해 성공 가능성을 높입니다.

가치 제안 (Value Proposition)

고객이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해야 하는 핵심 가치를 의미합니다. 차별화된 이점과 해결하는 문제를 포함합니다.

LTV (고객 생애 가치, Lifetime Value)

한 명의 고객이 기업에 기여하는 총 수익을 의미하며, 고객 유지 전략의 핵심 지표입니다.

CAC (고객 획득 비용, Customer Acquisition Cost)

한 명의 고객을 확보하는 데 드는 비용으로, 광고, 세일즈, 마케팅 비용 등이 포함됩니다.

Payback Period (회수 기간)

고객 획득 비용(CAC)을 고객 생애 가치(LTV)로 회수하는 데 걸리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제품 및 시장 관련 용어

제품-시장 적합성 (PMF)

제품이 시장의 수요와 정확히 맞아떨어지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PMF를 달성하면 자연스럽게 고객이 증가하고 마케팅 비용이 감소합니다.

최소 기능 제품 (MVP)

시장 반응을 빠르게 확인하기 위해 최소한의 기능만 포함한 제품을 의미합니다. MVP를 통해 초기 고객 피드백을 받고 제품을 점진적으로 개선합니다.

사업 방향 전환 (Pivot)

핵심 기술을 유지한 채 비즈니스 모델이나 고객 타겟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장 반응이 예상과 다를 때 새로운 기회를 찾기 위해 실행됩니다.

하드 피벗 (Hard Pivot)

기존 비즈니스 모델과 전혀 다른 방향으로 사업을 전환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B2C에서 B2B로 완전히 전환하는 경우가 해당됩니다.

소프트 피벗 (Soft Pivot)

핵심 기술이나 고객층을 유지하면서 일부 요소만 조정하는 형태의 사업 전환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제품을 타겟 고객층만 변경하여 운영하는 경우가 포함됩니다.

개념 검증 (Proof of Concept, POC)

기술적 가능성을 검토하고, 시장에서 실행 가능성을 실험하는 과정입니다. POC가 성공하면 이후 최소 기능 제품(MVP) 개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제품 주도 성장 (PLG, Product-Led Growth)

마케팅이나 영업이 아닌 제품 자체가 성장의 핵심이 되는 전략으로, 대표적인 사례로는 Slack, Zoom이 있습니다.

AARRR (해적 지표, Pirate Metrics)

undefined

AARRR, 해적 지표가 처음으로 제시된 도표.

‘AARRR’를 읽으면 해적들이 위협하는 특유의 소리처럼 들려서 해적 지표라고 불립니다.

스타트업 성장을 분석하는 프레임워크로, Acquisition(획득), Activation(활성화), Retention(유지율), Revenue(수익화), Referral(추천)으로 구성됩니다. 고객이 우리의 서비스에 유입되어서 사용하고, 만족하여 추천까지 하는 과정에서 매 단계 고객이 이탈해서 깔떼기 모양처럼 된다는 프레임워크입니다.

코호트 분석 (Cohort Analysis)

특정 기간이나 조건에 따라 고객 그룹을 나누고, 행동 패턴을 분석하는 기법으로, 사용자 유지율을 분석하는 데 활용됩니다.

TAM/SAM/SOM

전체 시장(TAM), 실제 타겟 시장(SAM), 지금 당장 공략 가능한 시장(SOM)을 구분해 시장 규모를 추산하는 방식.

페르소나 (Persona)

타겟 고객의 대표적인 성격/행동 패턴을 정리한 가상의 인물 프로필.

투자 및 자금 조달 관련 용어

초기 자금 (Seed Money)

창업 초기에 필요한 자금으로, 주로 창업자가 직접 투자하거나 엔젤 투자자에게서 조달됩니다. 이 자금을 활용하여 MVP를 개발하고 시장 반응을 테스트합니다.

SAFE (Simple Agreement for Future Equity)

미래 주식과 교환될 수 있는 투자 계약 형태로, Y Combinator에서 시작되었습니다.

Convertible Note (전환사채, CB)

초기 투자를 부채로 시작하여 이후 주식으로 전환되는 투자 방식으로, 스타트업 초기 자금 조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시리즈 A, B, C 투자 (Series A, B, C Funding)

스타트업 성장 단계별로 이루어지는 투자 라운드입니다. A 단계에서는 제품 출시, B 단계에서는 확장, C 단계에서는 글로벌 진출이 목표입니다.

자금 소진율 (Burn Rate)

스타트업이 매월 소비하는 운영 비용을 의미합니다. 소진율이 높으면 투자 유치 또는 비용 절감 전략이 필요합니다.

런웨이 (Runway)

undefined

스타트업의 런웨이를 표현하는 이미지

현재 보유한 자금으로 스타트업이 버틸 수 있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현재 보유한 자금을 월간자금소진(Burn Rate)로 나눈값입니다. 매달 지출하는 비용이 높으면 런웨이가 짧아집니다. (사진출처: 브런치)

투자 회수 (Exit Strategy)

초기 투자자가 투자금을 회수하는 방법으로 IPO 또는 M&A가 일반적입니다.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창업자의 성공적인 엑싯 전략이 중요합니다.

기업 공개 (Initial Public Offering, IPO)

스타트업이 주식을 상장하여 일반 투자자들에게 판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IPO를 통해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고, 기업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벤처 캐피탈 (Venture Capital, VC)

성장 가능성이 높은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전문 투자 회사를 의미합니다. 주식 투자 형식으로 자금을 제공하며, 성공적인 엑싯을 기대합니다.

엔젤 투자 (Angel Investment)

개인 투자자가 스타트업에 초기 자금을 제공하는 투자 방식입니다. 리스크가 높지만, 높은 수익 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선정해 투자합니다.

스타트업 운영 관련 용어

북극성 지표 (North Star Metric)

스타트업의 핵심 성장 지표, 모든 팀이 집중해야할 단 하나의 지표. 예: 슬랙은 ‘보낸 메시지 수’.

그로스 해킹 (Growth Hacking)

데이터 분석과 마케팅 기법을 활용해 빠르게 성장을 유도하는 전략입니다. 바이럴 마케팅, A/B 테스트 등을 활용해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냅니다.

이탈률 (Churn Rate)

일정 기간 동안 서비스를 해지하거나 떠난 고객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탈률이 높다면 고객 유지 전략을 개선해야 합니다.

유지율 (Retention Rate)

일정 기간 동안 서비스를 계속 사용하는 고객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유지율이 높을수록 장기적인 성장이 가능해집니다.

프리미엄 모델 (Freemium)

기본 기능은 무료로 제공하고, 추가 기능을 유료로 판매하는 모델입니다. 소프트웨어 서비스(SaaS) 기업들이 자주 활용하는 전략입니다.

온보딩 (Onboarding)

신규 고객이 제품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입니다. 좋은 온보딩 프로세스는 고객 유지율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단위 경제학 (Unit Economics)

한 명의 고객이 창출하는 수익과 비용을 분석하여 수익성을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CAC(고객 획득 비용)과 LTV(고객 생애 가치)를 비교해 손익분기점을 찾습니다.

글로벌 스타트업 용어

유니콘 기업 (Unicorn Startup)

undefined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약 1조 원) 이상인 비상장 스타트업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유니콘 기업으로는 토스, 쿠팡, 무신사 등이 있습니다.

데카콘 기업 (Decacorn Startup)

기업 가치가 100억 달러(약 10조 원) 이상인 스타트업을 의미합니다. 에어비엔비(AirBnB), 스트라이프(Stripe) 등이 대표적인 데카콘 기업입니다.

수니콘 기업 (Soonicorn Startup)

유니콘이 될 가능성이 높은 빠르게 성장하는 스타트업을 의미합니다. 벤처 캐피탈과 엔젤 투자자들이 집중적으로 주목하는 기업들입니다.

법인 이전 (Flip Strategy)

해외 투자 유치나 글로벌 확장을 위해 법인을 다른 국가로 이전하는 전략입니다.싱가포르, 미국 등 스타트업 친화적인 국가로 이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타트업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며, 다양한 전문 용어들이 끊임없이 등장합니다. 때로는 비슷한 개념들이 섞여 사용되거나, 명확한 정의 없이 쓰이는 경우도 많아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런 용어들을 정확히 이해하면, 팀원이나 투자자들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은 물론, 전략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때도 도움이 됩니다.

스텝하우가 궁금하다면 지금 무료로 사용해보세요

undefined

스타트업을 운영하거나 관심을 가지다 보면 다양한 전문 용어를 접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들 용어 중에는 자주 사용되지만 뜻이 헷갈리거나 혼동될 수 있는 것들이 많습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자주 등장하는 핵심 용어들을 쉽게 풀어 설명합니다

창업을 준비하거나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개념들이 포함되어 있으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스타트업의 기본 개념

네트워크 효과 (Network Effect)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서비스의 가치가 증가하는 현상으로, 대표적으로 SNS나 마켓플레이스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스타트업 (Startup)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신생 기업을 의미합니다. 보통 초기 자금(Seed Money)이 부족하며, 시장에서 제품-시장 적합성(PMF)을 찾는 과정에 있습니다.

벤처기업 (Venture Business)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인증한 기술 기반 중소기업을 의미합니다. 세금 감면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안정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갖춘 기업입니다.

린 스타트업 (Lean Startup)

시제품(MVP)을 출시하여 고객 피드백을 바탕으로 빠르게 개선하는 방식입니다. 최소한의 자원으로 제품을 개발하고 지속적인 실험을 통해 성공 가능성을 높입니다.

가치 제안 (Value Proposition)

고객이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해야 하는 핵심 가치를 의미합니다. 차별화된 이점과 해결하는 문제를 포함합니다.

LTV (고객 생애 가치, Lifetime Value)

한 명의 고객이 기업에 기여하는 총 수익을 의미하며, 고객 유지 전략의 핵심 지표입니다.

CAC (고객 획득 비용, Customer Acquisition Cost)

한 명의 고객을 확보하는 데 드는 비용으로, 광고, 세일즈, 마케팅 비용 등이 포함됩니다.

Payback Period (회수 기간)

고객 획득 비용(CAC)을 고객 생애 가치(LTV)로 회수하는 데 걸리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제품 및 시장 관련 용어

제품-시장 적합성 (PMF)

제품이 시장의 수요와 정확히 맞아떨어지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PMF를 달성하면 자연스럽게 고객이 증가하고 마케팅 비용이 감소합니다.

최소 기능 제품 (MVP)

시장 반응을 빠르게 확인하기 위해 최소한의 기능만 포함한 제품을 의미합니다. MVP를 통해 초기 고객 피드백을 받고 제품을 점진적으로 개선합니다.

사업 방향 전환 (Pivot)

핵심 기술을 유지한 채 비즈니스 모델이나 고객 타겟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시장 반응이 예상과 다를 때 새로운 기회를 찾기 위해 실행됩니다.

하드 피벗 (Hard Pivot)

기존 비즈니스 모델과 전혀 다른 방향으로 사업을 전환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B2C에서 B2B로 완전히 전환하는 경우가 해당됩니다.

소프트 피벗 (Soft Pivot)

핵심 기술이나 고객층을 유지하면서 일부 요소만 조정하는 형태의 사업 전환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제품을 타겟 고객층만 변경하여 운영하는 경우가 포함됩니다.

개념 검증 (Proof of Concept, POC)

기술적 가능성을 검토하고, 시장에서 실행 가능성을 실험하는 과정입니다. POC가 성공하면 이후 최소 기능 제품(MVP) 개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제품 주도 성장 (PLG, Product-Led Growth)

마케팅이나 영업이 아닌 제품 자체가 성장의 핵심이 되는 전략으로, 대표적인 사례로는 Slack, Zoom이 있습니다.

AARRR (해적 지표, Pirate Metrics)

undefined

AARRR, 해적 지표가 처음으로 제시된 도표.

‘AARRR’를 읽으면 해적들이 위협하는 특유의 소리처럼 들려서 해적 지표라고 불립니다.

스타트업 성장을 분석하는 프레임워크로, Acquisition(획득), Activation(활성화), Retention(유지율), Revenue(수익화), Referral(추천)으로 구성됩니다. 고객이 우리의 서비스에 유입되어서 사용하고, 만족하여 추천까지 하는 과정에서 매 단계 고객이 이탈해서 깔떼기 모양처럼 된다는 프레임워크입니다.

코호트 분석 (Cohort Analysis)

특정 기간이나 조건에 따라 고객 그룹을 나누고, 행동 패턴을 분석하는 기법으로, 사용자 유지율을 분석하는 데 활용됩니다.

TAM/SAM/SOM

전체 시장(TAM), 실제 타겟 시장(SAM), 지금 당장 공략 가능한 시장(SOM)을 구분해 시장 규모를 추산하는 방식.

페르소나 (Persona)

타겟 고객의 대표적인 성격/행동 패턴을 정리한 가상의 인물 프로필.

투자 및 자금 조달 관련 용어

초기 자금 (Seed Money)

창업 초기에 필요한 자금으로, 주로 창업자가 직접 투자하거나 엔젤 투자자에게서 조달됩니다. 이 자금을 활용하여 MVP를 개발하고 시장 반응을 테스트합니다.

SAFE (Simple Agreement for Future Equity)

미래 주식과 교환될 수 있는 투자 계약 형태로, Y Combinator에서 시작되었습니다.

Convertible Note (전환사채, CB)

초기 투자를 부채로 시작하여 이후 주식으로 전환되는 투자 방식으로, 스타트업 초기 자금 조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시리즈 A, B, C 투자 (Series A, B, C Funding)

스타트업 성장 단계별로 이루어지는 투자 라운드입니다. A 단계에서는 제품 출시, B 단계에서는 확장, C 단계에서는 글로벌 진출이 목표입니다.

자금 소진율 (Burn Rate)

스타트업이 매월 소비하는 운영 비용을 의미합니다. 소진율이 높으면 투자 유치 또는 비용 절감 전략이 필요합니다.

런웨이 (Runway)

undefined

스타트업의 런웨이를 표현하는 이미지

현재 보유한 자금으로 스타트업이 버틸 수 있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현재 보유한 자금을 월간자금소진(Burn Rate)로 나눈값입니다. 매달 지출하는 비용이 높으면 런웨이가 짧아집니다. (사진출처: 브런치)

투자 회수 (Exit Strategy)

초기 투자자가 투자금을 회수하는 방법으로 IPO 또는 M&A가 일반적입니다.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창업자의 성공적인 엑싯 전략이 중요합니다.

기업 공개 (Initial Public Offering, IPO)

스타트업이 주식을 상장하여 일반 투자자들에게 판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IPO를 통해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고, 기업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벤처 캐피탈 (Venture Capital, VC)

성장 가능성이 높은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전문 투자 회사를 의미합니다. 주식 투자 형식으로 자금을 제공하며, 성공적인 엑싯을 기대합니다.

엔젤 투자 (Angel Investment)

개인 투자자가 스타트업에 초기 자금을 제공하는 투자 방식입니다. 리스크가 높지만, 높은 수익 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선정해 투자합니다.

스타트업 운영 관련 용어

북극성 지표 (North Star Metric)

스타트업의 핵심 성장 지표, 모든 팀이 집중해야할 단 하나의 지표. 예: 슬랙은 ‘보낸 메시지 수’.

그로스 해킹 (Growth Hacking)

데이터 분석과 마케팅 기법을 활용해 빠르게 성장을 유도하는 전략입니다. 바이럴 마케팅, A/B 테스트 등을 활용해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냅니다.

이탈률 (Churn Rate)

일정 기간 동안 서비스를 해지하거나 떠난 고객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탈률이 높다면 고객 유지 전략을 개선해야 합니다.

유지율 (Retention Rate)

일정 기간 동안 서비스를 계속 사용하는 고객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유지율이 높을수록 장기적인 성장이 가능해집니다.

프리미엄 모델 (Freemium)

기본 기능은 무료로 제공하고, 추가 기능을 유료로 판매하는 모델입니다. 소프트웨어 서비스(SaaS) 기업들이 자주 활용하는 전략입니다.

온보딩 (Onboarding)

신규 고객이 제품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입니다. 좋은 온보딩 프로세스는 고객 유지율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단위 경제학 (Unit Economics)

한 명의 고객이 창출하는 수익과 비용을 분석하여 수익성을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CAC(고객 획득 비용)과 LTV(고객 생애 가치)를 비교해 손익분기점을 찾습니다.

글로벌 스타트업 용어

유니콘 기업 (Unicorn Startup)

undefined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약 1조 원) 이상인 비상장 스타트업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유니콘 기업으로는 토스, 쿠팡, 무신사 등이 있습니다.

데카콘 기업 (Decacorn Startup)

기업 가치가 100억 달러(약 10조 원) 이상인 스타트업을 의미합니다. 에어비엔비(AirBnB), 스트라이프(Stripe) 등이 대표적인 데카콘 기업입니다.

수니콘 기업 (Soonicorn Startup)

유니콘이 될 가능성이 높은 빠르게 성장하는 스타트업을 의미합니다. 벤처 캐피탈과 엔젤 투자자들이 집중적으로 주목하는 기업들입니다.

법인 이전 (Flip Strategy)

해외 투자 유치나 글로벌 확장을 위해 법인을 다른 국가로 이전하는 전략입니다.싱가포르, 미국 등 스타트업 친화적인 국가로 이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타트업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며, 다양한 전문 용어들이 끊임없이 등장합니다. 때로는 비슷한 개념들이 섞여 사용되거나, 명확한 정의 없이 쓰이는 경우도 많아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런 용어들을 정확히 이해하면, 팀원이나 투자자들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은 물론, 전략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때도 도움이 됩니다.

스텝하우가 궁금하다면 지금 무료로 사용해보세요

스타트업 용어 정리 - 스타트업 종사자 필수 상식

30초 만에 첫 매뉴얼을
만들어보세요!

매뉴얼 자동 생성을 통해 회사의 스마트 KMS를 구축하고 사내 지식을 공유하세요!

30초 만에
첫 매뉴얼을
만들어보세요!

매뉴얼 자동 생성을 통해 회사의 스마트 KMS를 구축하고 사내 지식을 공유하세요!

30초 만에 첫 매뉴얼을
만들어보세요!

매뉴얼 자동 생성을 통해 회사의 스마트 KMS를 구축하고
사내 지식을 공유하세요!

30초 만에 첫 매뉴얼을
만들어보세요!

매뉴얼 자동 생성을 통해 회사의 스마트 KMS를 구축하고 사내 지식을 공유하세요!